본문 바로가기

LIFE/영화, 드라마 리뷰 🎥

드래곤 길들이기 :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추천, 귀여운 모험 판타지 명작

반응형

 

 

 

※ 영화의 내용과 결말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총평은 개인적인 의견을 담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영화 기본 정보

 

 

 

<드래곤 길들이기>는 2010년 출시된 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드림웍스 사에서 제작했으며, 감독은 딘 드블루아와 크리스 샌더스가 맡았다.

 

영화는 아이들을 위한 가족 영화로 개봉되었지만, 성인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과 애니메이션 퀄리티, 훌륭한 스토리와 메시지를 통해 평론가와 대중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에 2014년과 2019년에 후속작이 개봉되기도 했다. 

 

추가로 2025년에는 <드래곤 길들이기>가 실사 영화로 개봉될 예정이라고 한다. 주인공 드래곤 투슬리스가 실사로 어떻게 묘사될지 기대가 된다.

 

 

 

 

 

2. 줄거리

 

 

 

버크 섬의 바이킹들은 드래곤과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버크 섬 바이킹 족장의 외아들 히컵은 어릴 때부터 허약했고 드래곤을 무서워하여 친구들에게 무시당하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히컵은 드래곤 한 마리와 조우한다. 자신이 만든 무기로 미지의 드래곤 나이트퓨리를 맞혀 추락시킨 것이다. 

 

나이트퓨리는 아무도 본 적 없고 기록에도 없는 희귀한 드래곤이다. 드래곤이 추락했을 만한 지점을 찾아다니던 히컵은 부상을 입고 움직이지 못하는 나이트퓨리를 발견한다. 그는 나이트퓨리를 죽이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나이트퓨리를 풀어준다. 

 

그 후 다시 만난 나이트퓨리는 부상으로 한쪽 꼬리날개를 잃어 날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히컵은 나이트퓨리에게 매일 먹이를 주고 말을 걸며 함께 어울리며 가까워졌다. 그동안 드래곤은 포악하고 인간을 무차별적으로 죽인다는 히컵의 선입견이 조금씩 허물어졌다. 생각 외로 나이트퓨리는 무척 온순했다. 

 

히컵은 나이트퓨리에게 '투슬리스'라는 이름을 붙여주기도 한다. 그는 아침에는 바이킹으로서 훈련을 하고 오후에는 투슬리스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투슬리스를 길들이는 연습을 한다. 

 

그는 인간과 드래곤이 함께 공존하며 살 수 있다는 것을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드래곤들이 흉폭한 나쁜 드래곤 '레드 데스'의 명령을 따르고 있는 것을 발견한다. 

 

 

 

이후의 줄거리는 강한 스포일러가 될 수 있으므로 영화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3. 총평 :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드래곤 캐릭터, 투슬리스와의 첫 만남

 

 

 

<드래곤 길들이기>는 캐릭터 디자인과 그래픽이 압권이면서 이야기의 전개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매력적으로 펼쳐진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 히컵과 그의 아버지와의 관계, 히컵과 투슬리스와의 관계에 대한 묘사가 관객들에게 많은 생각할 만한 거리를 던져준다. 또한 코믹 요소와 액션 요소도 잘 조화되어 있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좋은 작품이다. 

 

히컵이 투슬리스를 처음 만났을 때 드래곤이라면 반드시 죽이고 싸워야 할 대상으로 배우면서 컸지만 자신으로 인해 다친 투슬리스를 차마 죽이지 못하고, 그에게 먹이를 주며 회복을 돕는 모습에서 책임감과 죄책감 그리고 생명에 대한 존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전투 중에 한쪽 다리를 잃은 히컵과 한쪽 꼬리 날개를 다친 투슬리스가 함께 하는 장면은 종을 초월한 우정을 아름답게 표현했다. 히컵과 투슬리스의 관계가 더욱 단단히 다져지는 장면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의 하이라이트는 투슬리스의 귀여운 외모이다. 후속 편에서도 투슬리스의 귀여움은 끊임없이 이어진다. 

 

투슬리스의 외형이나 묘사는 말, 강아지, 고양이, 박쥐의 행동을 따온 것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고양이의 모습이 가장 모티브가 된 것처럼 보인다. 

 

영화를 본 모든 사람이 투슬리스의 매력에 빠지게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반응형